본문 바로가기
돈이되는 상식

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및 금리

by 하코노미 2023. 3. 11.

안녕하세요. 오늘은 정부에서 발표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금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6월에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고, 매달 40~70만원, 5년 동안 저축을 하면 최대 약 5,000만원의 저축액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 골자인데요, 그 외에 최신 정보도 포함하였으므로 잘 숙지하셔서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. 마지막에 금융위원회의 주요 Q&A 링크도 있으므로 잘 살펴봐 주세요.


청년도약계좌는 무엇인가

이 제도는 올해 6월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 매달 계좌에 저축을 하는 대한민국 청년(만 19~34세)을 대상으로 정부에서 기여금을 지원해 줄 뿐만 아니라, 만기일에 도달하여 저축금액을 되찾을 때 이자소득에 대해서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제도입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및 대상자

    • 나이 : 우선 만 나이로 19~34세인 대한민국 청년이어야 합니다. 만약 군복무를 수행했다면 군복무 기간(병역이행기간)을 제외해야 합니다.
    • 개인소득 : 나이를 만족하는 청년의 개인소득이 전년도 기준으로 7,5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. 참고로 올해 취업해서 전년도 소득이 없는 청년은 가입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합니다.
    • 가구소득 : 전년도 기준으로 가구소득은 중위 180% 이하여야 합니다. 참고로 주민등록등본의 구성원 기준으로 월소득의 합이 910만원 이하에 해당합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지원 내용

청년도약계좌 지원 내용을 요약하면, 매달 40~70만원을 5년간 저축하면 최대 약 5,000만원을 달성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. 아래 그림과 같이 총급여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다르게 지원받게 됩니다. 총급여가 2,400만원인 경우 월 최대 24,000원을 지원받으며, 총급여가 6,000만원 이상 7,500만원 이하인 경우 별도의 기여금 없이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게 됩니다.

그리고 주의하셔야 할 사항은, 총소득에 따라서기여금의 한도가 달라집니다. 총 급여 2,400만원 이하 구간의 경우 매달 40만원을 저축해도 최대 기여금 24,000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반면에, 총 급여 4,800~6,000만원 구간의 경우 매달 70만원을 저축해야 최대 기여금인 21,000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
청년도약계좌 기여금 기준
청년도약계좌 기여금 기준

 

청년도약계좌 금리와 해지에 대한 불이익

아마도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를 가장 궁금해하실 것 같은데요, 아쉽게도 아직 금리 수준은 확정되지 않았습니다. 곧 정부에서 발표할 예정이라는데, 현재까지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가입 후 3년까지는 고정금리, 그 이후 2년은 변동금리를 적용한다고 합니다.

그리고 중도해지를 하게 되면 정부로부터 받은 기여금뿐만 아니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다고 합니다. 그래도 특별한 사유나 불가피한 사유로 해지를 하게 되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. (사망, 퇴직, 폐업, 질병에 의한 장기치료 등)


청년도약계좌 내용 요약

오늘은 청년도약계좌의 조건 및 금리, 그 외 종합적인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다시 한번 골자를 말씀드리면, 매달 약 40~70만원을 5년 동안저축하면 최대 5,000만원 수준의 저축액을 달성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. 청년도약계좌를 이용하실 수 있는 조건이 되시는지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꼭 혜택을 누리시길 바라면서 오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 청년도약계좌 관련 주요 Q&A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 오늘도 경제상식 +1 하세요!


 

https://www.fsc.go.kr/no040101?cnId=1612%EF%BB%BF

 

www.fsc.go.kr

댓글